Life/상식 & 교육(366)
-
부유한 사람들의 몸에 밴 10가지 습관
부유한 사람들이 몸에 밴 10가지 습관 1. 무엇이든 메모한다 스티브 잡스(Steve Jobs)는 매일 아이디어를 메모했고,그것은 종종 애플의 혁신적인 제품의 플랫폼으로 탄생했다. 2. 일의 경중을 따진다 겉으로 중요해 보이는 업무가 사실은가볍게 넘겨도 되는 일일 수도 있고,업무에 소요되는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매일 운동한다 운동을 하지 않는 일반적인 이유 중 하나로시간이 없다는 핑계를 대지만,부유한 사람들은 없는 시간을 쪼개서라도 운동한다. 4. 작은 지출을 우습게 여기지 않는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이 있듯,작은 지출이 모여 큰 손실이 될 수 있다. 부유한 사람들은 재산을 구축하는 동안사치와 필수적인 지출을 식별하는 능력을 키워 검소함이 몸에 배어 있다. 5. 하루를 빨리 ..
2022.03.08 -
기적의 10마디
기적의 10마디 1. 내 잘못입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수 있다면 실수를 바로잡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2. 미안합니다 미안합니다라고 말할 때 상대방의 입장을 알 수 있으며 관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상대의 장점을 볼 수 있습니다. 3. 할 수 있습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 비난과 비웃음에 대한 걱정이 있겠지만, 목표를 갖고 도전하십시오. 당신은 할 수 있습니다. 4. 당신을 믿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강한 힘 중 하나는 자신감을 가지고 더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인간의 의지입니다. 5. 당신을 신뢰합니다 우리 사회의 성공은 상대가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서로에게 보여주는 믿음 사람들이 약속을 지킬 것이라는 믿음에 달려 있습니다. 6. 당신이 자랑스럽습니다 새롭게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 자..
2022.03.08 -
가장 큰 시간낭비!
가장 큰 시간낭비! 지나간 일에 대해 후회하는 것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큰 시간 낭비입니다. 뉴욕의 저명한 한 신경정신과 의사는 퇴임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그동안 환자들을 만나면서 나의 생활방식을 바꾸는데 가장 큰 도움을 준 스승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많은 환자들이 입에 담는 이란 두 글자입니다. 나와 만난 환자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지난 일을 회고하고 그때 반드시 해야 했는데 하지 못했던 일을 후회하면서 보냅니다. " 내가 그 면접시험 전에 준비를 잘했더라면..." " 그때 그 사람을 보내지 않았더라면..." 하지만 그렇게 후회의 시간을 보내는 것은 엄청난 정신적인 소모를 가져올 뿐입니다. 차라리 이렇게 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당신이 습관처럼 쓰는 이란 말을 라는 말로 바꾸어 쓰는 것입니다...
2022.03.07 -
10분이상 고민하지 말라
10분이상 고민하지 말라 어니 J 젤린스키의 '느리게 사는 즐거움'에 이런 말이 나온다. "우리가 하는 걱정거리의 40%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 사건들에 대한 것이고, 30%는 이미 일어난 사건들, 22%는 사소한 사건들, 4%는 우리가 바꿀 수 없는 사건들에 대한 것들이다. 나머지 4%만이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 진짜 사건이다. 즉 , 96%의 걱정거리가 쓸데없는 것이다. " 나는 고민거리를 오직 두 가지로 나눈다. 내가 걱정해 해결할 수 있는 고민과 해결할 수 없는 고민이다. 내일 비가 오면 어떻게 하나? 우산을 준비하면 된다 비를 멈추게 하는 것은 당신 능력의 한계를 벗어난다. 그것은 신의 영역이다. 신의 영역에 속하는 문제는 신에게 맡겨라. 그리고 오직 당신이 걱정해 풀 수 있는 문제들만 고민하고 ..
2022.03.07 -
피하면 행복해지는 15가지 습관
피하면 행복해지는 15가지 습관 1. 남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습관 남 잘되는 꼴을 못 보는 사람은 절대 행복할 수 없다. 다른 사람의 행복에 공감할 수 없으면서 자신이 행복할 수는 없는 법이다. 시기와 질투는 유익하지 않은 열등감, 당신을 갉아먹을 증오를 키우는 일이다. 2. 복수심, 원한 몇 달 전, 길게는 몇 년 전에 서운함이나 화를 아직도 가슴에 담고 있는가. 어쩌면 이런 습관은 당신 스스로를 원칙적인 사람 혹은 가볍지 않은 사람으로 느끼게 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런 습관은 당신을 약한 사람으로 만들 뿐이다. 쉽지 않겠지만 용서해야 한다. 용서하는 자가 용감한 것이다. 용서해야 비로소 불행함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3. 후회하는 습관 앞서 언급했듯, 용서는 당신을 불행함으로부터 자유롭게 만든다...
2022.03.05 -
가족의 소중함
1. 가족은 “두부”로 비유되어진답니다. 조심하지 않으면 부서질 수가 있으니까 언제나 가만가만히 다루어야 하는 소중한 것이니까. 2. 가족은 “붕어빵”에 비유되어진답니다. 추운 겨울에 무엇보다 절실하게 생각나고 급히 먹으면 상처 입고 중요한 것(단팥)은 겉이 아닌 속에 있으니까. 3. 가족은 “박카스”에 비유되어진답니다. 박카스를 마시면 피로가 풀리는 것처럼 사랑하는 가족을 보면 하루의 피로를 모두 잊을 수 있으니까. 4. 가족은 “저금통”에 비유되어진답니다. 처음 시작할 땐 달가닥 달가닥 요란하지만 채우면 채울수록 무겁고 든든하고 따뜻하고 기뻐지니까. 5. 가족은 “시곗바늘”에 비유되어진답니다. 같은 공간에 늘 있으면서 다른 곳을 보기도 하고, 함께 하기도 하고, 기다리기도 하니까. 6. 가족은 “화초..
2022.03.01 -
삶에 대한 좋은 글
◈ 윤택한 자 버는 대로 마구 쓰는 자는 마음이 가난한 자요, 벌어도 쓸 줄 모르는 자는 머리가 어리석은 자요, 적당히 필요한 만큼 아껴 쓰는 자만이 삶이 윤택한 자이다. ◈ 죽 음 우리가 죽음이라고 말하는 것은 삶의 끝이 아니다. 단지 우리가 죽음 뒤의 세상을 가보지 못했을 따름이다. ◈ 나쁜 일 많이 벌어서 많이 쓰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다. 진정으로 나쁜 것은 조금 버는 사람이 많이 쓰는 것이다. 자신의 분수를 지키지 않는 일보다 나쁜 일은 없다. ◈ 기도의 힘 주먹의 힘보다 기도의 힘이 더 강하다. 주먹의 힘은 모든 것을 파괴하는데 불과하지만 기도의 힘은 모든 불가능한 것을 이루어지게 한다. ◈ 배 움 배움을 게을리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무시하는 행위이다. 조물주가 주신 잠재력을 개발하지 않는 ..
2022.02.21 -
생산적인 사람들의 35가지 습관|
우리 주변에는 마치 하루가 30시간인 것처럼 많은 일들을 해내는 사람들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치 홍역을 치루듯 24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말이다. 어떤 사람은 우리가 종일 걸려 할 일을 아침을 먹기도 전에 끝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처럼 생산적인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평소 생산적인 생활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세상이 알아주는 유명인사지만 항상 같은 옷차림으로 사람 앞에 나선 사람은 스티브 잡스 말고도 힐러리 클린턴, 오바마 대통령, 그리고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주크버그 등이 있다. 이는 자신들의 고유한 이미지, 즉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도 있겠지만, 공통된 이유는 옷을 찾고 고르는 데 쓰는 시간을 보다 의미 있는 다른 곳에 쓰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
2020.12.02 -
공포영화를 보면 머리카락이 자란다고?!
공포영화를 보다 귀신이 나타나는 장면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름이 돋으며 머리카락이 쭈뼛쭈뼛 서게 되고 온몸이 서늘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런데 이 순간 머리카락이 자라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공포영화를 볼 때, 머리카락이 자라난다니 머리숱이 별로 없는 사람들에게 솔깃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는데요. 미국 하버드대의 야치에 쉬 교수와 대만 국립대 숭잔 린 교수 공동 연구진은 지난 20일 국제 학술지 '셀'에서 소름을 유발하는 신경세포가 모발을 재생하는 줄기세포를 조절하는 기능도 있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름은 왜 돋는 것일까요? 사람이 추위나 공포를 느끼게 되면 뇌가 보호해야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각 기관에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의 신호에 따라 털을 만드는 모낭에서 근육..
2020.08.18 -
커피를 마시면 왜 화장실이 가고 싶을까?
매일 아침 마시게 되는 모닝커피 한 잔! 그런데 커피만 마셨다 하면, 화장실을 가게 되고 모닝 배변활동도 하게 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일부러 화장실을 가기 위해서 아침에 커피 한 잔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커피와 배변활동에는 어떤 연관이 있는 것일까요? 미국화학연구회의 연구에 따르면, 커피를 마시면 약 4분 내로 소화되고 변의(대소변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는 사람이 10명 중 3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변의(대소변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는 것은 아니지만, 1/3의 사람들이 변의를 느끼고 있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변의를 느끼는 이유가 카페인 때문일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커피의 대표적인 성분이 카페인이기 때문에, 배변활동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카페..
2020.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