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30)
-
소리 지르거나 주먹 휘두르는 잠꼬대, 뇌종양 신호라고?!
심한 잠꼬대를 동반하는 렘수면행동장애가 있다면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뇌종양, 치매, 파킨슨병 등 뇌질환일 수 있다.잠은 안구 운동 유무, 근육이 마비되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나뉜다. 렘수면 상태 때는 안구를 움직이면서 꿈을 꾸고, 비렘수면 때는 안구가 움직이지 않고 꿈도 꾸지 않는다. 보통 90~120분 주기로 렘수면·비렘수면이 반복된다.통상적으로 잠이 들면 비렘수면으로 접어들고 90분이 지나면 안구는 움직이지만, 호흡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은 마비되는 렘수면 상태가 된다. 렘수면행동장애가 있으면 근육이 마비되지 않기 때문에 꿈 속 행동을 실제로 하게 된다. 싸움을 하거나 절벽에서 떨어지는 등 꿈 속 상황을 그대로 옮기기 때문에 본인이나 주변 사람을 다치게 할 수도 있다.렘수면행동장..
2025.04.01 -
하루 세 잔 마시면 치매 예방에 효과…깜짝 연구결과
日 가나자와대 연구팀, 65세 이상 노인 8766명 대상 연구 결과“녹차 주요 성분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뇌 건강 촉진”녹차를 하루에 세 잔 마시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일본 가나자와대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인용해 녹차를 정기적으로 섭취하는 노인은 인지 기능 저하와 치매의 원인인 대뇌 백질 병변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65세 이상 노인 87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결과, 녹차의 규칙적인 섭취가 치매 예방 뿐 아니라 암과 뇌졸중 위험을 줄이는 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녹차의 주요 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같은 카테킨은 몸속 염증을 줄이고 세포를 보호하는 특성이 있어 ..
2025.03.21 -
고기 대신 생선 먹으면 치매 위험 20% 낮아진다
소고기, 돼지고기 등 적색육과 그 가공식품을 많이 먹으면 치매 위험이 13%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고기, 돼지고기 등 적색육과 그 가공식품을 많이 먹으면 치매 위험이 13%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이를 견과류와 콩류, 생선 등으로 대체하면 치매 위험이 2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16일(현지시간) 미국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대니얼 왕 교수 연구팀은 미국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에서 노장년층을 대상으로 식단과 치매 위험 관계를 추적 관찰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미국 간호사 건강연구(NHS)와 건강 전문가 추적연구(HPFS) 등에 참여한 13만3771명(평균연령 49세)의 식단과 건강정보 데이터를 최장 43년간 추적 관찰했다.데이터는 2~4년마다..
2025.01.26 -
손에도 치매 징후 나타난다?
옷을 잡아당기거나 손을 비비고 쥐어짜는 등기억 상실, 대화에 대한 어려움, 혼란 등은 일반적인 치매 증상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놓쳐서는 안 될 징후도 있다. 영국 매체 '미러'에 따르면 영국 알츠하이머 협회는 손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을 끊임없이 쥐어짜는 행동은 불안함을 나타내는 신호로 치매 환자가 자주 경험하는 증상이라는 것이다. 협회는 "치매 환자들은 끊임없이 손을 비비거나, 옷을 잡아당기거나, 공공장소에서 부적절하게 자신을 만질 수 있다"라며 "이러한 행동은 통증이나 불편함, 화장실 필요, 신체 활동 증가 또는 주변 환경 문제 때문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협회는 또 "옷을 잡아당길 수도 있다. 치매가 있는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지고 몸을 꿈틀거리거나 왔다 갔다..
2025.01.07 -
"당신의 뱃살은 20년 후 알츠하이머 발병 여부를 알고 있다"
체내 특정 지방과의 연관성 분석결과복부 깊숙한 곳의 지방과 알츠하이머병 사이의 연관성이 확인됐다. 치매 초기 증상이 나타나기 최대 20년 전 알츠하이머병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됐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대표적인 유형으로, 체내 특정 지방이 알츠하이머병 발병과 연관성을 보였다는 분석결과다. 마사 돌랏샤히 미국 워싱턴대 말린크로트 방사선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인 비정상적인 뇌 단백질과 체지방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2일(현지시간) ‘2024 북미 영상의학회(RSNA 2024)’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65세 미국인 690만명이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다. 2050년에는 13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4.12.22 -
운동하는 노인과 하지 않는 노인...“치매 위험 큰 차이 나네”
치매의 35%는 예방할 수 있는 원인에서 비롯돼치매는 예방이 가능할까. 막을 수 있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깜빡깜빡 잘 잊는 가벼운 건망증은 나이가 들면서 피할 수 없는 노화 증상이다. 때로는 치매의 작은 신호로 여긴다. 하지만 이 증상만으로 장차 치매에 걸릴 수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개개인이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적지 않다. 연구에 따르면 치매의 35%는 예방할 수 있는 원인에서 비롯된다. 치매는 현재 세계적으로 약 47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건강 포털 '더헬시(TheHealthy)' 등의 자료를 토대로 치매 위험을 줄이는 방법을 알아봤다. 꾸준한 운동=걷기 등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것은 단지 정상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운동 자체가 치매 위험..
2024.12.19 -
얼굴에 ‘이것’ 많은 사람, 치매 위험 더 높다…“최대 2.5배”
눈가 주름이 더 많은 경우 치매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자신이 실제 나이보다 더 늙어 보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이 더 큰 것으로도 나왔다.24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등은 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와 치료’에 최근 게재된 논문이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얼굴 노화는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다.중국 푸단대 연구진은 영국 바이오뱅크에서 주관적 얼굴 나이 평가(실제보다 나이 들어 보인다고 생각하는지, 나이에 맞게 보인다고 생각하는지, 나이보다 젊어 보인다고 생각하는지 설문조사)를 한 60세 이상 참가자 19만 5329명과 중국 고령 인구의 영양 및 건강 프로젝트에서 객관적 얼굴 나이 평가를 받..
2024.12.05 -
자주 쓰는 ‘세 가지’ 가정용품, 치매 위험 높인다?
방향제·충치방지제·소독제, 알츠하이머성 치매 위험 높여…가정용품 8종 분석 결과건강에 해로운 가정용 화학물질이 적지 않다. 가정에서 방향제 충치방지제 소독제 등 제품을 자주 쓰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릴 위험이 훨씬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셀(Cell)≫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용 제품 가운데 방향제를 자주 쓰는 65세 이상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릴 위험이 2.4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치방지제(1.68배), 소독제(1.4배)도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킬 위험이 상당히 높았다. 중국 닝샤 의대 (Ningxia Medical University) 연구팀은 65세 이상 노인 1만387명을 대상으로 방향제..
2024.11.08 -
이 안 닦고 자면, 몸 망가지는 이유...1000종 이상 세균의 습격
구강 미생물 환경 악화…당뇨병, 심혈관질환, 암, 치매 등 발병률 증가 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각종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 나왔다. 치주염이 전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진 것이다.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치주염으로 인한 구강 미생물 환경의 불균형이 전신 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효정 치과 교수와 김현지·박경운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최근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인체 무게의 약 2%를 차지하는 미생물은 구강, 장, 피부 등에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의 상호작용이 질병 발병 또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구강은 1000종 이상의 균이 분포하고 있는 대표적인 미생물 서식지로, 침 1..
2024.10.23 -
단순한 노란색 점인 줄 알았는데… ‘치매’ 경고 신호라고?
눈 흰자 위에 노란색 반점이 생겼다면, 안구 혈류가 공급되지 않아 생기는 드루젠을 의심해야 하며 치매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 나이가 들수록 두려움이 생기는 질환 중 하나는 치매다. 치매는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신호 3가지를 알아본다.눈 흰자 위에 생긴 노란색 반점눈 흰자 위에 노란색 점이 생겼다면 치매 위험 경고 증상일 수 있다. 노란 점이 ‘드루젠’이라는 물질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드루젠은 혈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망막색소상피에 쌓이는 노폐물로, 주로 눈에 노란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안구 혈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뇌 혈류도 감소했다는 의미로, 치매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2018년..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