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장' 즐겨 먹는 사람… 폐, 뇌에 기생충 생길 위험

2024. 3. 2. 21:04Life/운동 & 건강

반응형

민물 참게 간장 게장.
민물 참게 간장 게장.

간장 게장은 '밥 도둑'이라 불릴 정도로 인기가 좋은 반찬이다. 그런데 '민물 게'로 만든 게장을 먹었다간 기생충에 감염될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민물 게나 민물 가재에는 폐흡충(폐디스토마)이라는 기생충이 잘 기생한다. 폐흡충증은 우리나라에서 1960년대까지 비교적 흔한 질환이었지만 현재는 수가 크가 감소했다. 하지만 민물 게를 이용한 전통 음식 섭취에 의해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폐흡충은 사람의 폐에 주로 자리를 잡는다. 폐에 1.5~2.5cm 크기의 주머니를 형성해 그 안에 알을 낳는다. 보통 기생충에 감염돼도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폐흡충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폐흡충증으로 확진된 47개 사례를 분석한 결과 62%가 호흡기 이상 증상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주로 마른기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복통 등을 겪는다. 

더 큰 문제는 폐흡충이 뇌, 장, 복막에 자리를 잡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를 '폐외 폐흡충증'이라 한다. 폐흡충은 보통 감염되면 십이지장에서 복강으로 나와 간을 뚫고 폐로 이동한다. 그런데 폐까지 도달하지 못한 폐흡충들이 뇌, 척수, 복강, 피하조직 등에 자리 잡는다. 일부는 척추를 따라 뇌 쪽으로 올라간다. 뇌에 손상을 입혀 심하면 뇌출혈을 유발할 수도 있다.

다행히 폐흡충은 프라지콴텔이라는 약을 쓰면 대부분 제거된다. 환자 90% 이상이 기생충 약을 한 번만 복용해도 증상이 낫는다. 따라서 민물 게장을 즐겨 먹는 사람은 기생충 검사를 해보거나, 기생충 약을 챙겨 먹는 것을 권장한다. 한편 폐흡충 환자의 폐 엑스레이 사진은 결핵과 유사해 결핵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폐흡충
폐흡충

출처: https://health.chosu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