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1. 21:02ㆍLife/요리 & 생활
밥은 한국인의 주식이다. 건강관리를 위해서 밥과 함께 먹는 식단 구성도 중요하지만 밥을 지을 때 일부 재료를 추가하는 것도 충분한 건강 효과를 낼 수 있다.
세브란스병원 김우정 영양팀장은 “흰쌀밥에 다른 재료를 더하면 탄수화물을 적게 먹는 효과를 누리면서도 식이섬유나 항산화 성분 등 추가하는 재료의 영양소까지 보완할 수 있다”며 “우리의 주식인 밥은 탄수화물 비중이 높기 때문에 건강한 식재료를 일부 섞어주면 영양학적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고, 재료가 추가되면서 향이 좋아지고 감칠맛이 더해지는 등 밥맛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밥에 어떤 재료를 넣는 게 좋을까? 밥물부터 녹차로 바꿔보자. 한국식품영양과학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백미 200g을 기준으로 녹차 물(녹차분말 3g 포함)을 넣어 밥을 지었더니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이 40배 많아졌다. 폴리페놀은 몸속 활성산소를 줄여 활성산소로 인한 DNA, 단백질 등의 손상을 막아 항암효과가 뛰어나다.
파로, 귀리, 현미 등 통 곡물을 적절히 섞어서 밥을 짓는 것도 추천한다. 통 곡물은 백미보다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수용성 섬유질 등이 풍부하다. 통 곡물은 흰쌀밥을 지을 때와 마찬가지로 물에 충분히 불린 뒤 넣으면 된다.
밥을 지을 때 한 줌 정도의 콩, 비트, 우엉을 넣는 것도 좋다. 콩의 이소플라본 성분은 암세포의 성장을 막고 암의 전이를 억제한다. 콩은 특히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다. 콩을 불릴 때 생기는 하얀 거품 성분인 사포닌은 항산화 작용을 하고 세포막 파열을 막아 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비트의 붉은빛을 내는 베타인 성분은 세포 손상을 막고 항산화 작용을 해 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한국식품저장학회지의 연구에 따르면, 비트 속 폴리페놀은 토마토나 마늘보다 4배 더 많고 활성산소 제거와 암세포 억제에 효과적이다. 밥을 지을 때, 껍질을 벗긴 비트를 잘게 잘라 넣고 함께 먹으면 된다.
우엉 속 아연은 항산화 성분을 도와 활성산소를 제거해 몸속 산화 스트레스를 조절한다. 우엉의 끈적거리는 부분인 리그닌은 몸속 발암물질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어 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우엉은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밥에 최대한 얇게 저며서 넣는 것이 좋다.
단, 평소 식사량과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재료를 추가하는 게 좋다. 김우정 영양팀장은 “식이섬유 섭취량이 급격히 늘어나면 사람에 따라 소화가 불편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전체 밥 양의 20~30%부터 시작해 점차 늘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출처: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6/25/2025062502918.html
'Life > 요리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밥도둑 ‘이 반찬’, 혈당·염증 다 잡는다 (0) | 2025.07.04 |
---|---|
‘한 봉지’ 속 견과류, 각각 효능은? (0) | 2025.06.30 |
라면에 대파 송송, 파김치 곁들었더니…몸에 어떤 변화가? (0)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