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은 수돗물 ‘온수’로 끓이면 안 된다고?

2025. 4. 26. 21:01Life/요리 & 생활

반응형
수돗물 온수, 중금속 용출 위험 있어
조리 등 섭취 목적일 땐 냉수 사용하고 정기적인 수질 점검을

라면이나 국을 끓일 때 수돗물 ‘온수’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냉수가 더 나은 선택이다.

온수·냉수 나오는 길 달라 유해물질 노출 위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음식을 조리할 때 수돗물을 사용한다. 환경부가 한국상하수도협회에 의뢰해 국내 7만2460가구를 분석한 결과, “밥과 음식을 조리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끓여서 사용한다”는 가구가 66%로 가장 많았다. 이들 중 80.1%는 “수돗물 사용 편의성이 높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수돗물은 냉·온수 상관 없이 요리할 때 써도 괜찮을까? 온수와 냉수는 물이 흘러나오는 길이 다르다. 냉수는 수도관을 통해 정수장에서 처리된 물이 가정까지 곧바로 공급되지만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배관을 거쳐 나온다. 이 과정에서 급수관 내부에 고여 있던 물이 흘러나올 수 있고 물이 배관이나 보일러 탱크 등에 오래 머무르면서 중금속이 섞일 위험이 존재한다. 순천향대 환경보건학과 장봉기 교수는 “온수가 보일러 배관을 거쳐 나올 때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수 있다”며 “특히 물 온도가 높을수록 납 용출량이 높아져 오래된 배관일수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서울 마포구 소재의 한 아파트의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리터당 0.0005mg) 이상 검출된 사례가 있다.

중금속이 섞여 있더라도, 한 번 끓이기 때문에 괜찮지 않을까? 장봉기 교수는 “수돗물 염소 소독 시 생성될 수 있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이나 박테리아 등은 끓이는 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만 중금속은 제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냉수 쓰고, 가열한 뒤 섭취를

수돗물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음식 조리 시 반드시 냉수를 사용해야 한다. 장봉기 교수는 “마시는 용 혹은 조리용으로 수돗물을 사용할 때는 냉수를 사용하고 되도록 가열한 뒤 섭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도 음용, 요리 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권고한다. 수돗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을 10~30초 흘려보낸 뒤 사용하는 게 좋다.

한편, 수도관 위생 상태가 불량하면 냉수를 사용하더라도 중금속이 포함될 수 있다. 수도관 배관은 5년에 한 번 정도로 청소하는 게 바람직하다. 가정 내 수질을 확인해보고 싶다면 환경부 물사랑 홈페이지나 과할 시·군에 전화해 수질 검사를 신청하면 된다. 수질검사는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출처: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23/2025042302664.htm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