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점(2)
-
강점을 키워야 탁월한 성과를 만든다
“박 과장은 이 점이 좀 부족하고 김 대리는 저 점만 고치면 좋을 텐데.” 리더는 자신도 모르게 구성원의 약점에 자꾸만 눈이 간다. 이는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으려는 복구 사고(repair thinking)에서 비롯된다. 이런 사고방식은 리더뿐 아니라 부모에게서도 흔히 나타난다. 갤럽이 전 세계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의 성적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자녀가 가장 잘한 과목보다 낙제한 과목에 더 신경을 썼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 경영학의 대가로 불리는 피터 드러커는 지속적이고 탁월한 성과는 약점이 아닌 강점에 집중할 때 나온다고 강조한다.약점을 고치기 위해 아무리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더라도 그 결과는 평균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강점을 키우는 데 집중하면 성과는 크게 ..
2024.11.09 -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의 10가지 특징
1. 의존하지 않는다. 의존성은 자존감에서 중요하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결코 쉽게 의존하지 않는다. 상대방에게 인정과 공감을 구하는 마음이 커지면 결국 의존성도 커진다. 상대방에게 의존해서 얻은 안정보다 자신을 높이고 우뚝 설 수 있는 노력이 중요하다. 2.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누구나 실수한다. 우리는 실수에서 배우고 성장한다. 그러나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실수를 통해 자신을 탓하기에 바쁘다.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생각하며 일을 하면 실수는 우리를 성장시켜주는 요소가 된다. 3. 거절을 무서워하지 않는다. 살다 보면 누군가에게 부탁할 경우가 생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상대방에게 거절당해도 상처받지 않는다. 내가 상대방에게 제안할 권리가 있다면 상대방은 제안을 거절할 권리가 있다...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