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3. 20:55ㆍLife/운동 & 건강
너무 짜게 먹거나, 정맥 부전 있으면 체내 수분 축적돼
물 체중(Water Weight)라는 게 있다. 체내 수분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몸은 최대 60%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
물은 세포 기능을 돕고, 체온을 조절하며, 영양분을 운반하고, 소변을 통해 노폐물 배출을 돕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는 등 많은 기능을 한다. 하지만 가끔 체내에 과도하게 수분이 쌓일 때 일시적으로 몸이 붓거나 체중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면 어떤 생활 습관 요인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몸 속 물 체중이 느는 이유를 미국 건강·영양 정보 매체 '잇디스낫댓(EatThis, NotThat)' 등의 자료를 토대로 알아봤다.
"너무 짜게 먹는다"=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짠 음식을 많이 먹어서다. 우리 몸은 나트륨 농도를 조절한다. 짠 음식을 먹으면 체내 나트륨 농도가 높아지고, 이에 반응해 갈증이 나고 소변의 양이 줄어드는 신체 반응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그리고 우리 몸은 체내 과도한 나트륨을 희석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물을 잡아둔다. 나트륨 농도를 다시 원하는 수준으로 낮추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보통 단기적인 문제다. 짠 음식을 너무 많이 먹지 않아야 한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하루 최대 나트륨 섭취량은 성인 기준 2000㎎ 미만이다.
"생리 기간이다"=생리 직전과 생리 중에도 체내 수분 양이 늘어날 수 있다. 생리 중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 때문이다. 보통 생리가 끝나면 평소대로 돌아온다.
비만이나 과체중인 사람의 경우, 체중을 감량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과 영양 잡힌 식단 또한 체내 과도한 수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정맥 부전이 있다"=정맥 부전은 정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보통 발과 종아리 쪽에 눈에 띄는 체액 부종을 일으킨다. 정맥 부전이 있으면 다리에 불편감이 생기거나 피부색이 어두워질 수 있으며, 감염이 생길 위험도 있다.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서 있을 때 생기는 경향이 있다. 적절한 체중 유지, 금연,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지 않기와 같은 생활 습관을 지키면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압박양말이나 압박스타킹 또한 혈액 순환을 도와 부기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섭취한다"=탄수화물도 우리 몸이 체내에 물을 과도하게 잡아둘 수 있는 또 다른 원인이다. 체내 물의 양은 하루 동안 생활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저장하는 글리코겐의 영향도 받는다.
우리 몸은 에너지로 즉시 사용하지 않는 탄수화물을 글리코겐으로 저장한다. 저장된 글리코겐 1g마다 3~4g의 물이 같이 저장된다. 따라서 몸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많을수록 더 많은 물을 끌어들이게 된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다"=갑상선(갑상샘)기능저하증이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이 있으면 체내에 과도한 수분이 축적될 수 있다. 보통 이뇨제를 처방 받아 복용한다.
'Life > 운동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세 이상은 '딸기'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드세요"…깜짝 놀랄 효능 보니 (0) | 2025.03.23 |
---|---|
하루 세 잔 마시면 치매 예방에 효과…깜짝 연구결과 (0) | 2025.03.21 |
“‘이것’ 하지 마라” 술·담배 아니었다…日108세 이발사의 장수 비결 (0) | 2025.03.20 |